News중앙일보

욕실·개인 공간 커지고 항균 소재 마감재 인기

By 2020년 06월 23일 No Comments

▶코로나19 이후 주택 건축 뉴 트렌드

▶개방형 디자인 속 공간 활용 극대화
▶방과 수납공간 확대, 세면대도 늘려
▶비데·음성인식 스위치도 일반화될 듯

 

코로나바이러스의 시대를 살면서 우리의 삶은 극적으로 바뀌었다. 직장, 학교, 여행, 쇼핑, 취미가 영향을 받았고 심지어 집에서 사는 모습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해 기존 주택은 물론, 새로 짓는 집의 디자인도 바뀌었다. ‘웰니스 바이 디자인’의 저자인 제이미 골드는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고통스러운 시기에 집들은 우리가 겪은 수많은 교훈을 실제로 반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디자인 제시

건축가들과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미래형 집을 만들 채비에 나섰다. 리모델링과 맞춤형 주택 전문 개발사인 ‘에디드 디멘션’의 앨런 캐너 대표는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더욱 편하고, 보다 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집이길 바라는 이들이 많아졌다”며 “집에서 칩거하는 긴 시간을 보낸 뒤 사람들이 집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특히 집에 홈 오피스를 설치하려는 이들이 늘었다고 ‘메릭 디자인 앤 빌드’의 데이비드 메릭 대표는 전했다. 전국 리모델링협회(NARI) 회장이기도 한 그는 “사무실을 개인 공간으로 보고 배우자와 공유하면 사생활 침해라고 보는 이들도 있다”며 “공간의 분리 개념이 더욱 중요한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가 바꿔 놓은 새로운 집이 가져야 할 요소들은 다음의 3가지로 크게 구분된다.

▶위생 기능 강화

자주 손을 씻고 혹여 감염된 가족을 격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요구되기 시작했다. 욕실은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것을 갖길 원하게 됐다. ‘미스터 핸디맨’의 데이비드 시프 대표는 “추가로 욕실을 설치하면 당장 편리해서 좋지만 바이러스에 따른 격리의 시대에는 욕실을 공유하는 것이 위험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필요성을 강조했다. 공간이 여의치 않으면 풀 사이즈가 아닌 하프 사이즈 욕실이나 현관 옆에 세면대만 두는 구조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관문 옆의 신발을 벗어두는 공간도 예전보다 필요성이 강조될 전망이다.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세균, 오염물질 등의 차단을 위해서로 보다 넓어지고, 앉을 수 있는 붙박이형 의자가 설치되며,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식으로 개선될 것이란 분석이다.

화장실의 비데도 보다 일반화될 전망이다. 건축회사 ‘퍼킨스 앤 윌’의 멜라니 터너 건축가는 “한층 위생적이고 화장지 사재기에 혈안이 될 필요도 없는 것이 비데”라며 “비데가 비싸다면 기존 변기에 장착할 수 있는 스프레이 형태의 워시렛(washlet)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장 공간 확대

식료품 저장 공간인 팬트리도 넓어질 것이다. 상온에서도 상하지 않는 식료품을 둘 공간이 넉넉하면 또다시 바이러스가 창궐했을 때도 위험하게 마켓에 가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실내에 갖출 여력이 안 되면 차고나 지하실에 선반이나 캐비넷을 두고 대신 활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 현관 옆이나 세탁실 근처에 비슷한 기능의 저장 공간을 둬도 되는데 이유는 배송을 이용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접촉할 필요 없이 바로 보관 장소에 둘 수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상하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해 냉장고 둘 공간을 2배 이상으로 늘리거나 빌트인 냉장고 서랍을 둘 수도 있다. 얼마 전까지 겁에 질린 이들이 마켓의 냉동실까지 모조리 비우게 만든 사실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터너 건축가는 “코로나19로 분리된 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재조명됐다”며 “크기에 상관없이 게스트 룸과 같은 공간들은 아이들 놀이터나 홈 오피스로 이용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전체적으로 넓어 보이는 확 트인 ‘오픈 플로어 플랜(open floor plan)’의 시대가 저물었다는 뜻은 아니다. 대신 매우 사적인 공간과 대체로 사적인 공간 그리고 공동의 공간이 조화를 이루는 시대가 올 것이다.

▶마감재도 신경 써서

세균에 대한 우려로 황동과 구리 또는 구리-아연 합금으로 된 손잡이 등이 애용될 것으로 보인다. 한 조사에 따르면 황동은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효과적으로 박테리아를 박멸할 수 있다. 여기에 이들 재질은 자연적인 항균성을 지니고 부식에도 강하다.

또 직접 손을 대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핸즈프리 내장재도 일반화될 전망이다. 제이미 골드 작가는 “이미 핸즈프리 수도꼭지와 전등 스위치는 물론 음성으로 작동하는 창문, 샤워, 온도, 음향 시스템이 사용되는 시대”라며 “앞으로는 손을 대지 않고도 문을 열 수 있는 시스템이 집에 설치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가 바꾼 건축 디자인 트렌드가 미래형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그런데도 바이러스가 남긴 타격은 크다. 이런 멋진 신세계를 보여줄 신축 건물을 마음껏 볼 때까지는 좀 더 긴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신축은 지연될 수밖에

건축과 부동산 업계는 신축부터 파이낸싱까지 모든 과정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어반 페이스’의 클린트 맨 대표는 “2분기 초반 신규 주택 매물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60% 정도에 불과하다”며 “이전과는 다른 ‘뉴 노멀’ 상황인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센서스에 따르면 4월 전국의 신규주택 건설은 전년 대비 29.7% 급감한 89만1000채로 나타났고, 신축을 위한 퍼밋 신청은 19.2% 줄어든 약 110만채를 기록했다. 전국 주택건설협회(NAHB)의 로버트 디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싱글 패밀리 홈 건축이 전반적으로 20%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며 “내년 말까지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는 못할 것”으로 분석했다.

물론 지난달 중순 발표된 NAHB와 웰스파고의 주택시장지수에서 건축가 신뢰지수는 7포인트 올라 37을 기록했다. 그러나 여전히 낙관론과 비관론을 가르는 기준인 50 미만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류정일 기자
[출처] 미주 중앙일보 2020년 6월 18일